본문 바로가기

단지 소소한 일상/단지 소소한 정보

1. 30살, 다시 가계부를 쓰기로 했다.

반응형

 

2010년, 이여사의 집에서 떨어져 나와서 20살의 대학생의 생활을 시작했을 때,

처음으로 '재정'이란 것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원래부터도 용돈은 거의 받지 않고, 주말 아르바이트로 내가 쓸 용돈을 마련해서 살아왔지만

필요한 것이 있으면 즉각즉각 채워주는 엄마의 집이 아닌

기숙사 지붕 아래에서 내가 필요한 것을 스스로 조달해서 살아야 하는 상황이 오니

어쩔 수 없이 수입과 지출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했다.

 

거창할 것 없는 나의 첫 가계부는 아주 간단했다.

매 월 1일마다 각 카테고리별로 예산을 얼마씩 책정하고,

월말에 잔액을 모아서 다시 예산에 더해서 쓰는 것.

그렇게 6년여간 대학생활~독립생활 내내 알바로 벌었던 수입은 고스란히,

모두 지출이 되어 내 주머니에서 빠져나갔다.

그 뒤로도 뱅크샐러드와 같은 자동기입 가계부를 사용하면서

지출은 꾸준히 기록했지만, 여전히 수입과 같은 비율로 지출하면서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짤을 참고하자면,

내 과소비 지수는 그야말로 '재정파탄 상태'

 

과소비 진단 지수

 

 

 

독립을 준비하고, 슬슬 결혼을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서서히 마음이 조급해졌다.

 

현실감이 떨어졌던 것이라 생각한다.

20대 초반에는, '결혼하기 전이면 어떻게든 번듯한 직장 다니면서 돈 잘 벌겠지 그때가서 모으자' 라는

생각이 강했고, 현실과도 동떨어져 있었다.

 

가전제품 하나를 사려면 현금이 얼마 있어야 하는지, 내 월급대비 얼마가 나가는지도 전혀

따져볼 생각은 없었고 막연히 어떻게든 되겠지 라고 생각하며 살아온 20대의 끝자락에서

이제 진짜 현실을 맞딱뜨려 부랴부랴.. 재정관리를 해 보고자 가계부를 쓰기로 했다.

 

 

 


 

 

그래도 취직을 하면서, 최소한 저축을 시작하기는 했다.

월급을 받으면, 최소한 우선적으로 어떻게 급여를 분배할지- 까지는 생각했다.

 

 

매월 다이어리에 급여들어오기 일주일정도 전부터

우선이체할 곳들을 적어서 지출의 우선순위를 정한 것 까지는 좋은데 ..

30살 끝자락에서 돌아보니 도대체 남는게 없다

1년 6개월동안 300만원 모아서 차 남은 할부를 일시불로 갚고 ..

차만 아니었어도 천만원은 모았겠다, 싶기도 하고 ...

 

 

어쨌든 !!!!!!

 

그래서, 2020년 10월부터 가계부를 쓰기로 했다.

 

1. 사용 할 때 마다 작성하는 휴대폰 편한가계부 어플로 가계부 작성

2. 매 주 작성하는 주간 가계부 - 아이패드 굿노트

3. 매 월말 작성하는 월간 가계부 - PC 엑셀

 

이렇게 3 단계를 거쳐 10월, 11월, 12월 가계부를 꾸준히 써 보고자 한다.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

 

12월은 독립하는 달이니 지출이 클텐데,

목표는 간단하게 '12월에 가전은 현찰로 구매하기'에 도전해야겠다.

 

3개월 써 보고, 나에게 맞는 양식으로

2021년 가계부 양식을 만드는 것을 버킷리스트에 추가할 생각이다.

 

 

 

 

 

반응형